-
<TIL> 220113 클로저, Styled Component클래스/└ TIL 2022. 1. 13. 20:01728x90
🌱
{ 알고리즘 }
자료구조
리스트(순차 접근), 배열(임의 접근), 스택(푸시/팝), 큐(인큐/디큐), 해시 테이블, 힙 트리, 이진 탐색 트리
정렬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힙 정렬, 병합 정렬, 퀵 정렬
리스트 탐색
선형 탐색, 이진 탐색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벨먼-포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A*
{ 자바스크립트 }
24장: 클로저
클로저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함수 객체는 내부 슬롯 [[Environment]]에 저장한 렉시컬 환경의 참조, 즉 상위 스코프를 자신이 존재하는 한 기억합니다.
생명주기가 다한 상위 스코프의 식별자(자유변수)를 참조하는 함수를 클로저라고 합니다.
즉시 실행 함수는 호출된 이후 소멸합니다.
이 때 즉시 실행 함수가 클로저를 반환한다면, 이 클로저는 즉시 실행 함수의 렉시컬 환경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객체 리터럴의 중괄호는 코드 블록이 아니므로 별도의 스코프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for 문의 변수 선언문에서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를 사용하면 for 문의 코드 블록이 실행될 때마다 새로운 렉시컬 환경이 생성됩니다.
{ 리액트 }
Styled Component
Styled Component를 사용하면 스타일을 가진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JSX 태그의 속성값을 통해 props를 전달합니다.
attrs 메서드를 활용하면 HTML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 도감 / 이시다 모리테루, 미야자키 쇼이치 지음 / 김완섭 옮김 / 제이펍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이웅모 지음 / 위키북스
https://nomadcoders.co/react-masterclass
728x90'클래스 >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20115 화살표 함수, rest 파라미터, 타입스크립트 (0) 2022.01.15 <TIL> 220114 클래스 (0) 2022.01.15 <TIL> 220112 this, 실행 콘텍스트, useParams (0) 2022.01.12 <TIL> 220111 래퍼 객체, useEffect (0) 2022.01.11 <TIL> 220110 알고리즘, 프로토타입, useState (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