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L> 220101 캐시, 주기억장치클래스/└ TIL 2022. 1. 1. 23:57728x90
🌱
{ 컴퓨터 구조 }
메모리 구조
참조의 국한성: 전형적인 프로그램들을 분석해 보면, 일정 시간 동안의 메모리 참조가 국한된 영역에서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캐시 메모리의 성능은 히트율(hit raito)에 의하여 측정됩니다. CPU가 메모리를 참조할 때 캐시에서 이를 찾을 경우 히트(hit)라 부르며, 캐시가 아닌 주기억장치에서 찾을 때 미스(miss)라고 부릅니다.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매핑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write-through: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장치를 동시에 갱신하는 방법입니다.
write-back: 워드가 캐시로부터 제거될 때 주기억장치로 복사하는 방법입니다.
주기억장치가 꽉 찬 상태일 때 제거할 페이지를 선택하는 교체 알고리즘에는 FIFO와 LRU(least recently used)가 있습니다.
멀티프로세서
멀티프로세서란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를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CPU를 가진 시스템을 말합니다.
동일한 내용의 정보가 여러 개의 캐시나 주기억장치에 복사본으로 중복 저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여러 개의 정보 복사본들이 모두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캐시의 일관성(cache coherence)이라고 합니다.
📌
Mano의 컴퓨터시스템구조 / M. Morris R. Mano 지음 / 김종상 옮김 / 프로텍미디어
728x90'클래스 >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20105 연결 리스트, 함수, 컴포넌트 (0) 2022.01.05 <TIL> 220104 리스트, 객체 리터럴, 함수형 프로그래밍 (0) 2022.01.04 <TIL> 211231 연산자, 단축평가 (0) 2021.12.31 <TIL> 211230 SIMD, 동적 타입, WebRTC (0) 2021.12.30 <TIL> 211229 제어장치, Socket.io (0)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