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js> express.urlencoded가 필요한 이유액티브 스킬/노드 2022. 3. 2. 23:22728x90
🎯
{ express.urlencoded }
언제 사용하나요?
express 서버로 POST 요청을 할 때 input 태그의 value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무엇인가요?
요청의 본문에 있는 데이터를 해석해서 req.body 객체로 만들어주는 미들웨어입니다.
왜 사용하나요?
요청의 본문에 있는 데이터가 URL-encoded 형식의 문자열로 넘어오기 때문에 객체로의 변환이 필요합니다.
cf) JSON 문자열로 넘어오는 경우 express.json() 미들웨어를 사용합니다.
어떻게 사용하나요?
예전에는 body-parser 패키지를 별도로 설치해야 했지만 express v4.16.0 부터 내장 라이브러리가 되었습니다.
1. <클라이언트> POST 요청으로 input 태그의 값을 전달합니다(서버에서 name 속성으로 주어진 값(title)으로 참조).
2. <서버> 미들웨어 설정
3. <서버> req.body 객체의 프로퍼티(예제에서는 title)를 변수에 저장하여 활용
Q. 요청의 본문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 넘어오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
Node.js 교과서 / 조현영 지음 / 길벗
https://github.com/expressjs/body-parser
https://nodejs.org/en/docs/guides/anatomy-of-an-http-transaction/
http://expressjs.com/ko/api.html#express.json
728x90'액티브 스킬 > 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드> joi 라이브러리(validator) 에러: Cannot read property 'presence' of undefined (0) 2022.04.13 <Node.js> 쿠키-세션 (0) 2022.03.15 <Node.js> __dirname 이해하고 가기 (0) 2021.12.19 <Node.js> TypeError: expressHandlebars is not a function (0) 2021.12.11 <Node.js> multer middleware (0) 2021.12.02